콘텐츠로 건너뛰기

스팀코인 전망 및 차트 분석, 상장 거래소는 19 곳

스팀코인 전망 및 소개 차트 분석, 상장거래소

안녕하세요. 오늘은 SNS로 핫한 STEEM COIN을 소개할게요.

4년마다 찾아오는 비트코인 반감기가 내년에 옵니다. 그만큼 실속 있는 알트코인을 선점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한때 메디블록같은 코인이 50원에서 3원대가 이되고 다시 그 코인이 398원이 되었던 것처럼 스팀도 현재 가격에서 충분히 매력적인 코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포스팅 정독하면 투자에 도움이 될 겁니다.

설명에 앞서 아래 링크는 스팀 거래를 할 수 있는 바이비트 거래소 가입 링크로 클릭 후 가입하면 최대 증정금 및 거래 수수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 수수료 할인 20프로 + 증정금 30,000usdt 받고 가입 클릭

수천수백 개 코인 중에 실제로 사용되는 코인은 몇 개 없습니다. 스팀코인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코인이며 웹 서핑을 많이 하는 분이라면 아래 로고를 봤을 겁니다.

steemit logo
steemit logo

Steemit 은 현재 사용자 약 120만 명으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네이버 블로그 및 페이스북과 같이 그 누구나 사진, 텍스트, 영상 콘텐츠를 자유롭게 업로드하고 다른 유저들과 소통할 수 있는 SNS입니다. 모든 콘텐츠가 스팀체인에 저장되며 자신의 활동 및 기여에 따라 스팀(STEEM) 코인을 통해 보상을 직접 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스팀잇

스팀코인

최근 바이비트에 상장

얼마 전 전 세계 2위 거래소 바이비트에도 상장을 했습니다. 코인을 오래 한 사람은 알겠지만 바이비트 상장했다는 의미는 해당 코인이 견고하다는 의미가 큽니다.

아래는 일봉 차트로 오늘이 3일차 되는 날입니다.

바이비트 스팀 일봉
바이비트 스팀 일봉

아래는 스팀 거래를 할 수 있는 바이비트 최대 거래 수수료 할인 및 증정금을 받을 수 있는 링크로 클릭 후 가입만 해도 바로 적용됩니다. 010-7321-4144, 전화번호를 남긴 만큼 최대 혜택을 보증합니다.

바이비트 수수료 할인 20프로 + 증정금 가입 링크 클릭

스팀 소개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메인넷입니다. STEEM은 스팀 생태계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네트워크 보안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기술적 특징

스팀은 STEEM, SBD(Steem Dollar, 스팀달러), SP(Steem Power, 스팀파워) 3종의 디지털 자산을 네이티브 토큰으로 사용합니다.

증인(Witness)이라고 일컫는 검증인들이 블록 생성과 가격 오라클을 담당하며, 전체 참여자들의 투표로 가장 많은 SP를 부여받은 상위 20개 노드가 증인이 됩니다.

스팀은 네트워크 트랜잭션 수수료가 존재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에 따른 블록 보상을 검증인과 컨텐츠 기여자들에게 분배합니다.

현재와 미래

스팀잇
스팀잇

스팀은 2020년 초, 하이브(Hive) 하드포크로 인해 커뮤니티가 분할되는 사건을 겪었으나 메인 디앱인 스팀잇(Steemit)을 중심으로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향후 더욱 다양한 디앱들을 유치하여 확장된 소셜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출처: 업비트 스팀

웹 사이트

스팀코인 전망

스팀코인은 한때 12,500원대에 갔다가 대폭락 후 200원대 그리고 1,000원대 위에 갔다가 다시 급락 후 현재는 300원 부근에서 위아래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코인의 미래는 그 누구도 알 수 없지만 국내 업비트 및 빗썸을 포함한 19개 곳에 상장이 되어 있다는 점, 스팀잇이라는 SNS에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 스팀잇이외에 다른 생태계로 발전될 수 있다는 점 이것만 보더라도 충분히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 듭니다.

스팀코인 상장 거래소: bybit, binance, bithumb ,bittrex global ,htx ,gate.io ,poloniex ,probit global ,upbit ,bitvavo ,mexc ,wazirX ,coindcx ,whitebit ,nominex ,digifinex ,coinex ,ruex ,hitbtc

스팀코인 전망
스팀코인 전망

알트코인은 소액 투자로 단타보다는 장투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지키긴 어렵죠. 10프로만 올라도 팔아버려서 ^^; 제 이야기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